본문 바로가기
일상생활

2023년 Google Workspace를 위해서 Amazon ROUTE53에 메일 서버 등록 방법

by WebHack 2023. 6. 16.

이 내용을 기록하는 이유는 별것도 아닌것에 시간을 많이 허비 하였습니다.

2023년 이후 google workspace를 사용하려면 MX 가 바뀌였습니다.

그리고 뭔가 google workspace에 버그도 있습니다. ㅠㅠ

(홈에서 절대로 MX 등록 먼저 하면 안 됩니다)

 

하는 방법

1. Google Workspace에서 계정>도메인>도메인 관리

에서 우선 도메인을 인증 해야 합니다.

 

도메인 관리에서 TXT로 인증코드를 확인 합니다.

그리고 AMAZON ROUTE53에서 TXT로 GOOGLE-SITE-VERIFICATIO~~ 을 등록 하고

MX에 1 SMTP.GOOGLE.COM을 등록 합니다.

Google Workspace를 위해서는 딱 2개만 설정하면 됩니다.

MX 1개, TXT 1개

(이때 레코드 이름은 @를 넣지 마시고 비워 두시면 됩니다)

 

이때 등록이 잘 되었는지 우선 확인이 필요 합니다.

https://toolbox.googleapps.com/apps/dig/#A/

 

Dig(DNS 조회)

 

toolbox.googleapps.com

여기서 이름에 원하는 도메인을 넣고 TXT를 확인하면 제가 입력한 GOOGLE-SITE-VERIFICATIO~~ 가 나와야 합니다.

MX를 확인하면

위와 같이 나와야 합니다.

 

그 후  Google Workspace에서 계정>도메인>도메인 관리에서 활성화을 해주세요

그럼 완료가 됩니다.

절대로 홈에서 도메인 활성화 하지 마세요.. 계속 버그나요..

TTL은 꼭 3600으로 할 필요 없습니다.

저는 빠르게 등록 확인 하기 위해서 짦게 60하고 설정 했습니다.

 

아참 제일 중요한거!!

아마존 ROUTE53에서 등록한 도메인이 정상적으로 등록 되었는지 꼭 확인 하세요

ROUTE53에서 도메인을 잘 구매 했으나 인증누락으로 활성화가 안 될경우도 있습니다.

(활성화는 도메인등록시 연락처의 이메일로 확인 합니다.)

ROUTE53>도메인>등록된 도메인>xxx.com 클릭해서 세부 정보를 꼭 확인 하세요